링크드인(LinkedIn) 프로필 작성

지난 번 몇 번의 포스팅을 통해서 구직 활동을 하기 위한 영문 이력서 작성 요령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링크드인 사용법> 첫번째 시리즈로 링크드인 프로필에 이러한 이력서를 올리고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궁극적으로 구직을 하기 위한 첫 단추를 매는 방법을 설명드리려 합니다. 먼저 이력서가 작성되어야 하므로 영문 이력서가 없는 분들은 다음 포스팅을 통해 이력서를 먼저 작성하시고 시작하세요.

이제 영문 이력서를 작성했다면 한글 이력서와 함께 이 이력서들을 채용 사이트들에 올려야 합니다. 다양한 채용 사이트들이 있지만 요즘 다수의 헤드헌터들이 사용하고 외국계 기업들이나 벤처기업들이 많이 사용하는 링크드인(LinkedIn)에 어떻게 이력서를 업로드해야 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링크드인(LinkedIn)이란?

“링크드인”은 Professional Network 를 표방한 SNS 서비스의 일종인데요, 페이스북(Facebook)이나 여타의 SNS와는 다르게 경력과 관련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해서 나온 서비스입니다. 벌써 나온지 10년이 넘어서 해외에서는 많이 사용하고 있고 구직 활동을 한다면 링크드인 프로필을 작성해 놓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라고 합니다. 저도 링크드인을 통해서 여러 번 면접 요청을 받은 적이 있고 헤드헌터뿐만이 아니라 기업 인사팀에서 바로 연락을 받은 경험도 있기 때문에 구직 활동을 하고 있다면 링크드인 프로필은 꼭 작성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링크드인 프로필 작성 요령

링크드인의 프로필은 나를 알리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이고 다른 사람이 나를 살펴보는 첫인상입니다. 현실에서는 나의 외모, 어투, 목소리, 제스쳐 등이 이러한 첫인상을 좌우하지만 링크드인에서는 프로필 내용과 사진이 나의 첫인상을 좌우하고 면접 및 채용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이러한 첫인상은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프로필 내용은 사진, 헤드라인(Headline), 경력 요약(Summary), 이력서(경력 및 학력) 부분으로 이루어집니다.

1. 사진

링크드인 프로필이 작성 되었다면 사진도 추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어떤 조사에 의하면 사진이 추가되어 있는 계정이 그렇지 않은 계정보다 사람들이 볼 확률이 더 높다고 합니다 (참고: 5 Tips for Picking the Right LinkedIn Profile Picture). Professional network 임을 감안해서 일반적인 SNS 에 올리는 사진보다는 딱딱하지는 않지만 formal 해 보이는 사진을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2. 헤드라인(Headline)

특정 포지션에 지원하는 자신을 한 줄 또는 몇 개의 단어로 요약한다면 어떤 말을 써야 할까요? 헤드라인은 바로 자신을 몇 개의 단어로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ABC 사의 채용 관리자라면 “Recruit manager at ABC Corp.” 와 같은 방식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방식은 링크드인에서 자동적으로 작성되는 형식이기도 합니다. 너무 긴 헤드라인은 오히려 집중력을 떨어뜨리므로 단순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방식이 너무 단조롭게 느껴진다면 키워드 한두개를 더 추가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회계 담당자이면서 세무 관련 업무에 전문성이 있다면

Accounting staff at ABC Corp. experienced in Tax accounting and VAT filing

과 같은 식으로 작성하는 것도 좋은 헤드라인이 될 것입니다.

3. 경력 요약(Summary)

일반적으로 경력 기술서에도 경력 요약은 작성되므로 동일한 내용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경력을 모두 요약하여 3-5 줄로 표현한다고 생각하시고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어느 회사에서 무슨 일을 하고 있으며 과거에 어떤 회사들에서 어떤 업무를 담당했었는지를 간략하게 작성하면 됩니다.

4. 이력(경력 및 학력)

본격적인 이력서 부분입니다. 최근의 경력 순으로 근무했던 회사와 담당했던 직무에 대하여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예전에 이력서를 작성하면서 들었던 Feedback 은 최대한 짧으면서 명료하게 작성하여 어떤 일을 했는지 알 수 있게 작성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력서 작성에 대해서는 이전에 작성했던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링크드인 네트워크

링크드인 프로필도 작성이 되었다면 이제 내 프로필을 알릴 차례입니다. 처음 가입하셨을 때는 아는 사람도 없고 따라서 친구도 한 명도 없기 때문에 프로필을 다른 사람이 볼 경로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적극적으로 링크드인 프로필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한데,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 이미 알고 있던 사람들(전 직장 동료, 학교 동문 등)을 친구로 추가
  • 이력서 웹사이트에 본인 홈페이지 주소를 적는 란이 있다면 링크드인 주소를 추가
  • 이메일 서명에 링크드인 주소를 추가(특히 헤드헌터와 이메일을 주고받을 경우)

이런 방법을 사용해서 한두명씩 네트워크를 형성하다 보면 점차 본인의 링크드인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다양한 회사의 인사팀이나 헤드헌터들도 링크드인을 통해서 연락하기도 합니다. 엄연히 링크드인도 소셜 네트워크라는 점을 감안하시어 낮설거나 관계가 없는 사람을 무분별하게 추가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외부로 공개하는 정보이기는 하지만 링크드인의 프로필에는 상당히 다양하고 자세한 개인 정보가 담겨 있으니까요.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